한켤레

  • 홈
  • 태그

탐색적데이터분석 1

[Data Science Basic] About EDA(exploratory data analysis) with Orange3

데이터에 대해서 두 가지 접근법이 존재한다. CDA와 EDA다. CDA 는 확증적 데이터 분석으로 (confirmatory data analysis) 가설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는 전통적 분석 기법이다. 로널드 피셔(Ronald Fisher)는 모집단과 표본을 구별하고 모집단에 관한 지식을 정밀한 소표본에 의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수립해, 추계 통계학을 창시했다. 가설검정, 신뢰구간(=유의 수준), 유의확률(p-value) 등의 관련 용어들도 존재한다. 그와 다른 EDA, 탐색적 데이터 분석이 존재한다. (exploratory data analysis) 정해진 가설과 모형없이 데이터의 구조와 특성을 통해 통찰을 얻는 분석 기법이다. 존 튜키(John Tukey)는 "EDA는 우리가..

CSE/Data Science Basic 2022.12.31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한켤레

낭만과 꿈이 가득한 꿈나무 블로그입니다

  • 분류 전체보기 (35)
    • Data Structure (8)
    • Algorithm (8)
      • [BOJ] (8)
    • CSE (19)
      • Computer Architecture (3)
      • Data Science Basic (3)
      • Software Design (4)
      • Algorithm1 (9)
      • Operating Systems (0)

Tag

array, 백준1992, BOJ, 백준1992파이썬, SoftwareDesign, Computerarchitecture, 백준, Java, 백준문제해결, 자바, 소프트웨어설계, 1992파이썬, 자바자료구조, 리스트, 1946파이썬, 배열, 컴퓨터구조, 데이터과학기초, 자료구조, 그리디알고리즘,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